떠나야만 알게 되는 감정들
일상 속에서는 너무 당연해서 미처 느끼지 못했던 감정들이 있습니다. 익숙한 공간, 반복되는 대화, 자동화된 하루 속에서는 마음 깊은…
일상 속에서는 너무 당연해서 미처 느끼지 못했던 감정들이 있습니다. 익숙한 공간, 반복되는 대화, 자동화된 하루 속에서는 마음 깊은 곳의 소리를 외면하게 됩니다. 하지만 낯선 땅에 발을 디디는 순간, 잊고 지냈던 감정들이 조용히 고개를 듭니다. 저는 독일을 여행하며, 떠나지 않았으면 몰랐을 감정들을 하나씩 마주했습니다. 떠나야만 알게 되는 감정들, 그 이야기입니다.
Table of Contents
익숙함이 가리고 있던 감정의 실체
매일 같은 길, 같은 시간, 같은 말. 익숙함은 편안함을 주지만 동시에 감정을 무디게 만들기도 합니다. 감정이 없어진 것이 아니라, 자리를 찾지 못한 채 마음 어딘가에 잠들어 있던 것이죠.
하이델베르크에 도착했을 때, 저는 처음으로 진짜 혼자가 된 느낌을 받았습니다. 일상 속에서는 늘 ‘괜찮은 사람’의 역할에 집중했는데, 낯선 공간에서는 그런 역할이 의미 없어졌습니다. 그제야 “사실은 괜찮지 않았다”는 감정이 얼굴을 드러냈습니다.
낯섦이 감정을 깨우는 이유
낯선 공간은 감정을 깨웁니다. 계획하지 않았던 골목, 모르는 언어, 어색한 침묵 속에서 우리는 더 진짜 같은 나를 만나게 됩니다. 독일의 조용한 도시들은 그런 경험을 선물해주었습니다. 뤼벡에서 혼자 걸었던 운하 길, 프라이부르크의 무명의 골목, 바덴바덴의 조용한 산책로.
그곳들에서 저는 특별한 사건 없이도 감정이 올라오는 걸 느꼈습니다. 마치 오랫동안 잠겨 있던 무의식이 그 조용함 속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듯한 기분이었습니다.
떠나야만 떠오르는 감정들
‘그리움’, ‘외로움’, ‘안도감’, ‘두려움’. 이 감정들은 일상에서는 뚜렷하지 않지만, 떠나야만 명확해집니다. 베를린에서의 첫 아침, 호텔 창밖으로 들려오던 트램 소리 속에서 갑자기 가족이 떠올랐습니다. 평소에는 잘 느끼지 못했던 고마움이, 그때만큼은 명확하게 다가왔습니다.
반대로, 프랑크푸르트의 거리에서는 혼자임에도 전혀 외롭지 않았습니다. ‘혼자서도 괜찮다’는 감정은 떠나보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었던 감정이었습니다.
감정은 낯선 공간에서 흐른다
여행은 감정을 끌어올리고, 정리하고, 때로는 다시 태어나게 합니다. 떠남은 도피가 아니라 ‘나에게 돌아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독일 여행은 저에게 그런 감정의 회복이었습니다. 말하지 않아도 괜찮았고, 정리하지 않아도 되는 감정들을 자연스럽게 흘릴 수 있던 시간이었습니다.
저는 프라이부르크의 어느 공원 벤치에 앉아 있던 그 조용한 오후를 잊지 못합니다. 바람이 불고, 아이들이 뛰어놀던 그 평범한 순간. 그 속에서 저는 알 수 없는 평온함과 깊은 감정을 동시에 느꼈습니다. ‘지금 이대로 괜찮다’는 감정은 오직 떠나야만 가능했던 것이었습니다.
돌아와서 비로소 아는 감정의 이름들
여행을 마치고 돌아와 일상으로 복귀했을 때, 저는 전보다 훨씬 감정에 솔직한 사람이 되어 있었습니다. 여행이 삶을 바꾸지는 않았지만,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떠나야만 알게 되는 감정들은 멀리 있는 감정이 아닙니다. 늘 곁에 있었지만, 들을 수 없었던 목소리일 뿐입니다. 떠나는 것은 그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일입니다.